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ESG 평가에서 조직 경계(Organizational Boundary)와 운영 경계(Operational Boundary)의 차이점

by 바로이에스지 2025. 3. 13.

ESG 평가에서 조직 경계(Organizational Boundary)와 운영 경계(Operational Boundary)의 차이점

ESG 평가에서 **조직 경계(Organizational Boundary)**와 **운영 경계(Operational Boundary)**는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ESG 성과를 측정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며, 주로 온실가스(GHG) 배출량 산정과 ESG 데이터 보고에서 사용됩니다.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을 포함하고, 어디까지 범위를 설정하는지에 있습니다.


1. 조직 경계 (Organizational Boundary)

조직 경계는 기업이 ESG 성과를 보고할 때 포함할 법적·재무적 범위를 의미합니다. 기업이 운영하는 다양한 사업체, 계열사, 합작 투자 등을 어디까지 포함할지를 결정하는 개념입니다.

조직 경계를 설정하는 방식

국제적인 GHG 프로토콜(GHG Protocol)과 지속가능성 보고 기준(GRI, SASB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식이 있습니다.

  1. 자산/지분 소유권 기준 (Equity Share Approach)
    •   기업이 소유한 지분율에 따라 ESG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식
    •   예: 50%의 지분을 가진 합작 법인의 ESG 데이터를 50%만 포함
  2. 재무 통제 기준 (Financial Control Approach)
    •   기업이 재무적으로 통제하는 모든 조직을 포함하는 방식
    •   예: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자회사 포함
  3. 운영 통제 기준 (Operational Control Approach)
    •   기업이 실질적으로 운영을 통제하는 조직만 포함하는 방식
    •   예: 실질적인 의사결정 권한이 있는 사업장 포함

핵심 차이점: 조직 경계는 ESG 평가에서 기업이 어디까지 책임을 질 것인지 결정하는 기준이며, 법적/재무적 구조에 기반하여 설정됩니다.


2. 운영 경계 (Operational Boundary)

운영 경계는 특정한 환경적 요소(특히 온실가스 배출)를 측정할 때 어떤 범위까지 포함할지를 결정하는 기준입니다. 일반적으로 Scope 1, 2, 3 배출량을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운영 경계 설정 방법 (온실가스 배출 기준)

운영 경계는 기업이 어떤 운영 활동에서 배출된 ESG 관련 데이터를 포함할지를 정하는 방식입니다.

  1. Scope 1 (직접 배출, Direct Emissions)
    •   기업이 직접 통제하는 시설이나 장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
    •   예: 공장의 연료 연소, 사내 차량 사용
  2. Scope 2 (간접 배출, Indirect Emissions from Purchased Energy)
    •   기업이 구매한 전기, 열, 냉방 등 에너지 사용으로 발생하는 간접 배출
    •   예: 공장에서 사용하는 전력
  3. Scope 3 (기타 간접 배출, Other Indirect Emissions)
    •   기업이 직접 통제하지 않지만, 가치사슬에서 발생하는 모든 간접 배출
    •   예: 원자재 공급업체의 배출량, 물류·운송 과정, 제품 사용 후 배출

핵심 차이점: 운영 경계는 기업이 어떤 운영 활동에서 발생하는 배출량을 측정하고 보고할 것인지 결정하는 개념입니다. 조직 경계가 **"어떤 조직을 포함할지"**를 결정하는 것이라면, 운영 경계는 **"어떤 배출을 포함할지"**를 정의하는 것입니다.


정리: 조직 경계 vs 운영 경계

구분 조직 경계 (Organizational Boundary) 운영 경계 (Operational Boundary)

정의 ESG 데이터를 보고할 때 포함할 법적·재무적 경계 ESG 데이터를 보고할 때 포함할 운영 활동 및 배출 경계
기준 - 자산/지분 소유권 기준- 재무 통제 기준- 운영 통제 기준 - Scope 1 (직접 배출)- Scope 2 (구매 전력 간접 배출)- Scope 3 (기타 간접 배출)
초점 기업이 어디까지 책임질 것인가? 기업이 어떤 활동에서 발생한 배출을 포함할 것인가?
활용 예시 - 기업이 연결재무제표를 기준으로 ESG 데이터를 보고할 것인가?- 지분율을 기준으로 ESG 데이터를 포함할 것인가? -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할 때 Scope 1, 2, 3을 어디까지 포함할 것인가?

실무에서의 활용

  • ESG 보고서 작성 시 조직 경계를 먼저 정한 후, 운영 경계를 설정하여 온실가스 배출량과 지속가능성 데이터를 보고함.
  • 탄소중립(Net Zero) 목표 설정 시, 운영 경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목표 설정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음.
  • ESG 투자 및 평가에서 평가기관이 조직 경계를 다르게 적용하면 기업의 ESG 점수가 달라질 수 있음.

즉, ESG 평가에서 조직 경계는 "어떤 기업 활동을 포함할지", **운영 경계는 "어떤 배출을 포함할지"**를 정의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