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최신 ESG 정책 및 지속가능성 이슈 (2024년 2월 10일)

by 바로이에스지 2025. 2. 10.

 

2025년 최신 ESG 정책 및 지속 가능성 동향

ESG 공시 의무화 연기

금융위원회는 기업들의 준비 기간을 고려하여 ESG 공시 의무화 시기를 2026년 이후로 연기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견기업과 중소기업들도 ESG 경영 체계를 구축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공시 대상: 코스피 상장사 및 자산 2조 원 이상의 비상장 대기업
  • 공시 항목: 환경(E), 사회(S), 거버넌스(G) 관련 주요 지표
  • 도입 시기: 2026년 이후 단계적 시행 예정

녹색전환보증사업 시행

환경부는 기후 변화 대응과 지속 가능한 산업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1조 5천억 원 규모의 녹색전환보증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친환경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혁신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지원 대상: 기후 친화적 기술 및 저탄소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
  • 보증 한도: 기업당 최대 500억 원 지원
  • 주요 분야: 재생에너지, 탄소 저감 기술, 친환경 건설

배출권거래제도 개선

202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시장에 기관투자자의 참여가 허용됩니다. 또한 배출권 거래 방식이 개선되어 시장 유동성이 증가하고, 기업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권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변경 사항: 기관투자자(은행, 보험사 등) 참여 허용
  • 이월 가능량 확대: 순매도량의 3배 → 5배로 조정
  • 배출권 거래 방식 개선: 중개회사 통한 거래 가능

전기차 보조금 지원 확대

정부는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보조금 지원 제도를 개편하였습니다. 특히, 청년층과 다자녀 가구를 대상으로 추가 혜택을 제공하며, 친환경 차량 이용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 청년층(만 34세 이하) 생애 첫 전기차 구매 시 추가 지원
  • 다자녀 가구 보조금 우대 정책 시행
  • 지원 금액: 최대 1,000만 원 (기본 보조금 포함)

탄소중립포인트제 확대

탄소중립포인트제가 확대되어 전력 및 가스 절감뿐만 아니라 친환경 소비와 대중교통 이용 등 다양한 활동에서도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 전력, 수도, 가스 사용 절감 시 포인트 적립
  • 전기차 및 친환경 제품 구매 시 추가 적립
  • 대중교통 이용률 증가 시 인센티브 제공